겨울이면 늘상 감기를 달고 다니는 사람들이 있죠.
감기가 지속되면 폐렴이 된다는 말이 있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고 하는데요.
감기와 폐렴의 차이점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감기는 감기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기도의 위쪽) 감염으로 발생됩니다.
폐렴과는 발생 위치도 다르구요.
기침과 촛물, 가래, 코막힘등의 초기 증상이 폐렴과 감기가 비슷하지만
폐렴은 하기도쪽의 세균, 바이러스,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폐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계속되는 기침이나 찐득하고 누런 가래, 가슴 통증이 계속 된다면
폐렴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폐기능이 약한 체질이라면 도라지, 배등 기관지에 좋은 음식을 평소에 드시는것도
좋은 폐렴 예방방법입니다.
폐렴은 전염되나요?
아침방송을 보니 오한진 의학박사께서 말하시길,
폐렴은 전염이 되기는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염성이 극히 낮아서 폐렴환자가
격리 조치될 필요는 없고, 대부분의 폐렴이 쉽게 전염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학교나 직장에서 폐렴환자와 함께 지낸다고 해서
전염되지는 않고, 환기가 잘 안되는 좁은 곳에 인구밀도가 높게 있을 경우 전염되기 쉽고,
폐렴과 혼동하기 쉬운 폐결핵이 전염력이 높다고 하니 주의하세요.
폐렴 예방주사, 폐렴 백신
폐렴도 예방주사, 백신이 있는데요.
한국에는 면역기간이 길고 13개의 균을 방어하는 13가 백신과,
다양한 균을 막아주는 23가 백신 두가지 접종이 가능합니다.
보건소에서 13가 백신은 무료로 접종이 가능하다고 하니,
폐렴이 걱정되신다면 접종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두가지 모두 접종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폐렴 백신을 아무것도 안 맞았다면
13가를 먼저 맞고 6개월정도 후 23가를 추가접종하는것이 좋다고 하네요.
폐렴이 진행되고 심해져서 만성폐렴이 될 경우 폐암으로 진행될수도 있으니
미리 접종하시고 예방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건강한 겨울 보내시기 바래요.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 원인, 대처법은? (0) | 2015.12.15 |
---|---|
장기렌트카 보증금 및 초기비용 (0) | 2015.12.14 |
차량 스노우체인 종류, 스노우체인 설치법 (0) | 2015.12.03 |
겨울 귤껍질 활용법, 귤껍질 핫팩만들기 (0) | 2015.12.01 |
노푸하는법, 노푸 효과, 부작용은? (0) | 2015.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