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겨울철 차량배터리 방전예방법, 방전됐을 때 응급조치

by 추억. 2016. 1. 26.


한파주의보가 해제되었지만 여전히 추운 겨울날씨! 

아침에 출근하려고 보니 배터리가 방전되었던 경험 혹시 있으신가요?

한파로 인해 차량 시동이 걸리지 않아 보험사의 긴급출동 요청건만 

4만건 정도가 넘게 발생되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차량배터리 방전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블랙박스 OFF 


블랙박스 상시 녹화 기능은 꺼 놓은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장시간 주차를 할 경우에는 블랙박스 전원을 분리하도록 합니다. 

상시 녹화 기능을 끌 수 없다면 매일 시동을 한번 정도 걸어줘서 

배터리 방전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배터리 사전교환, 교환시기 알아보기 


오래된 배터리의 경우 성능 창을 먼저 확인하고, 

색깔이 변했다면 미리 교환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 교환시기는 시동이 약하게 걸린다거나 전조등 불빛이 약해지는 경우

교체시기가 다가왔음을 알 수 있으며, 성능창의 배터리 표시등이 녹색이면 정상, 

검은색이면 충전필요, 흰색이라면 배터리 교체시기가 온 것입니다. 



보통이 배터리 교환주기는 2~3년정도라고 하지만, 

운전자의 사용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인디케이터를 확인하여 교환주기를 체크하는 것이 좋으며 

겨울철에는 계절 특성상 전기소비가 많기 때문에 겨울이 오기 전에 교체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3. 시동 걸기전 예열


차에 키를 꽂고 시동을 바로 부릉 하고 걸지 말고 일단 키를 꽂은 다음 

잠시 기다렸다 시동을 살짝 걸었다 껐다 3~4회 정도 반복하여 예열 후 시동을 켜도록 합니다. 

예열이 된 뒤에 차를 출발하는 것이 좋지만 여의치 않다면

기어를 파킹에 놓은 상태에서 엑셀을 몇번 밟은 뒤 출발하도록 합니다. 


4. 실내 주차 


실내주차가 어려운 경우는 어쩔 수 없지만 가급적 차량을 실내에 주차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에도 그늘보다는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주차하도록 하고, 

어쩔수 없이 혹한의 날씨에 실외 주차를 해야 할 경우에는 본네트라도 

천등으로 덮어 두는 것이 낫다고 해요. 



5. 방전됐을 때 응급조치 


인터넷에 떠도는 방법이긴 한데 실제로 효과를 봤다는 분도 있고, 

그렇지 않은 분들도 있지만 시도삼아 해보고 안되면 긴급출동을 부르면 될 것 같습니다. 


일단 사이드 브레이크를 채웁니다. 

자동차 키를 온에 놓습니다.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기어를 파킹에서 1단까지 

내렸다 올렸다 내렸다 올렸다 두번 반복한 뒤 시동을 걸면 신기하고, 

말도 안되게 시동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고 하네요. 



하지만 모든 배터리가 방전된 차량에서 가능한 방법이 아니라는 점 유념해두시고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겨울철 차량관리 여러모로 신경써야할 부분이 많지만 

꼼꼼하게 신경쓰셔서 모두 안전 운행 하시기 바래요~ 


댓글